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
[주식 용어] 물적분할 뜻과 물적분할 후 주가가 떨어지는 이유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18. 02:01
최근 LG화학이 배터리 사업부를 물적분할하고, SKT도 모빌리티 사업부를 물적분할한다는 이슈가 있는데요. 물적분할 이후 주식 가격이 보통 떨어지기 때문에 시끄럽습니다. 물적분할이 무엇이고, 회사는 왜 물적분할을 하는 것인지 살펴보겠습니다. 물적분할 이후 주식 가격이 떨어지는 이유도 함께 둘러봅니다. 기업분할이란? 물적분할은 인적분할과 함께 '기업분할'의 한 종류입니다. 기업분할은 말 그대로 기업을 나누는 것입니다. 기존에 1개이던 기업을 2개 이상으로 나눠 각각 독립된 사업체로 만드는 것인데요. 사안이 사안이니 만큼 주식회사의 경우 주주가 모여 총회를 열고 참석주주의 3분의 2이상, 총 의결권의 3분의 1이상의 승인을 해야만 분할이 이뤄집니다. 멀쩡히 잘만 굴러가던 기업을 분할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
-
[주식 용어] 투자자 종류: 개인, 기관, 외국인 뜻과 유형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16. 21:09
금융 뉴스를 보거나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갖다보면 '개인, 기관 외국인'이 매수/매도를 했다는 내용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주식을 투자하는 주체인 개인, 기관, 외국인은 각각 무엇이고 어떤 종류인지 알아봅시다. 1. 개인 소위 '개미'라고 불리는 개인 투자자들을 말합니다. 개인이 투자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관/외국인에 비해 적은 규모로 투자하게 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관, 외국인과 비교하시면 감이 더 잘 오실겁니다. 2. 기관 투자자 기관 투자자는 주식투자를 주업무로하는 기관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기관들이 꽤 많기 때문에, 종류별로 구분을 합니다. 금융투자기관: 증권사, 자산운용사들이 '자기들 돈으로 투자' 투자 신탁: 일명 '펀드', '고객이 맡긴 돈으로 투자' 사모 펀드: 투자 신탁과 유사,..
-
증권사 CMA 뜻과 장단점, 증권사별 이자 비교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16. 01:28
보통 사회초년생들 직장인에게 주거래 계좌를 은행 통장으로 쓰지 말고 CMA로 쓰라고 많이들 말씀하십니다. CMA란 무엇이고 왜 추천받을까요? CMA란? CMA란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로 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 한국어 뜻이 너무 어렵죠? 쉽게 말하면 '현금 관리 계좌'입니다. 현금 관리 계좌라고 불리는 이유는 우리가 통장에 넣는 돈을 증권사가 관리해주기 때문입니다. 증권사는 돈을 가지고 여러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합니다. CMA의 특징 CMA의 장점은 두 가지 입니다. 1. 은행 주거래계좌(보통예금)보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지금같은 저금리시대에는 주거래계좌가 0.1% 금리로 CMA는 5배인 0.5%대에 이릅니다. 2. 하루만 넣어도 수익률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즉, 매..
-
[주식용어] HTS MTS WTS 수수료 비교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16. 00:31
주식을 처음 접하면 HTS, MTS, WTS 등 용어가 등장합니다. 무슨 뜻인지 알아봅시다. HTS란? HTS란 홈 트레이딩 시스템(Hom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집이나 사무실에서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과거 인터넷이 보급되기 전에는, 주식 거래를 위해 장에 나가고 거래에 따른 주가가 큰 전광판에 표시되었던 것을 기억하실겁니다. 이제는 집과 사무실에서 인터넷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거래를 할 수 있는데, 그것을 의미합니다. WTS란? WTS는 Web Trading System의 약자입니다. HTS는 증권사별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하는데, WTS의 경우 증권사 홈페이지에서 직접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별도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고, 인터넷 웹을 통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