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
사모펀드 뜻 라임사태 KCGI 사건 총정리!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2. 1. 22:29
경제 뉴스를 보다보면 사모펀드라는 용어가 등장합니다. 최근에 있던 사건을 예로 들어볼까요? 한진그룹의 대한항공이 아시아나와 합병 절차를 밟으면서, 사모펀드인 KCGI가 한진그룹과 대립하고 있다는 뉴스가 올라왔습니다. 사모펀드가 무엇이길래, 한진그룹과 같은 대기업과 대립할 수 있는 것을까요? 오늘은 사모펀드의 뜻과 관련 사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사모펀드 뜻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 소수 투자자의 자본을 모아 주식,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 사모펀드란 소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본을 출자해서, 기업, 채권, 부동산 등의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노리는 펀드입니다. 기본적으로 수익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산을 사고 되팔아서 이익을 남기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사모펀드는 주로 레버리..
-
선물 옵션 만기일 뜻 알아보기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1. 22. 01:03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표적인 파생상품인 선물과 옵션의 뜻과 만기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생상품은 리스크가 크고, 만기일을 정해서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선물과 옵션이란? 선물: 상품 또는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인수할 것을 약정한 거래 선물은 미리 거래 가격을 정해놓고, 물건만 나중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흔히 배추의 예를 많이 드는데요. 배추 농사를 짓는 농부는 6개월 뒤의 배추 가격을 예상할 수 없습니다. 공급이 부족해서 금값 배추가 될 수도 있지만, 가격이 폭락해서 한 해 농사의 제값을 치루지 못할 수도 있겠죠. 이러한 상황에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 가격을 미리 정해놓고 미래에 거래를 하는 것이 선물입니다. 농사를 짓고 있는 지금, 배추는 ..
-
주식 공매도란? 공매도 뜻 금지 기간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1. 5. 02:15
주식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뉴스를 간혹 보시다가 '공매도'로 개미들이 손해본다, 공매도를 일정 기간 금지한다, 이런 내용을 접하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오늘은 공매도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공매도(Short Position) 뜻 공매도: 현재 내게 없는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사서 메꾸는 방식 공매도의 공은 빌 공, '空'자를 사용합니다. 무언가 없는 것을 판다는 것인데요. 실제로는 내게 없는 주식을 있다고 치고 판 다음에, 나중에 그 주식을 사서 메꾸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주식 거래는 당장 내가 금액을 지불하고 주식을 구매한 뒤에, 가격이 오르면 파는 방식이죠. 공매도는 이와 정반대로, 일단 있다고 치고 주식을 판 다음에 그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습니다. 그리고 미래에 주식을 사서 그것을 메..
-
ETF란? ETF투자 뜻과 장점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31. 01:21
주식 및 재테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ETF에 대해서 들어보셨을겁니다. 워렌 버핏도 투자를 '모르는 사람은 ETF에 투자하라'는 말을 남겼는데요. ETF가 무엇이고 어떤 뜻인지 살펴보겠습니다. ETF 뜻 ETF = ETF(Exchange Traded Fund : 상장지수펀드) ETF란 상장지수펀드의 약자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등 특정 수치 지수 또는 금, 채권, 원유와 같은 특정 자산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율이 달라지는 상품입니다. 이 상품은 거래소에 상장되어 마치 주식처럼 거래됩니다. 쉽게 말하면, KOSPI 지수를 주식처럼 사고판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를테면 삼성전자나 현대차 등 특정 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상장되어있는 '코스피 시장'의 가격 지수를 따..
-
[주식용어] 주식 PBR 뜻 계산방법, 투자에 활용하기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22. 00:01
주식 투자를 하기 전 참고로 살펴봐야할 지표가 PER, PBR입니다. 특히 이 두 지표는 주가와 상관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데요. PBR은 기업의 펀더멘탈, 즉 근본적인 자산구조와 관계가 있습니다. PBR이 무슨 뜻이고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봅시다. (PER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조하세요.) PBR 뜻과 계산하기 PBR = 기업의 현재 주가 / 주당 순자산 가치 PBR은 회사 주식의 현재 가격을 주당 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입니다. PBR 계산에 필요한 주식가격은 사이트를 검색하면 쉽게 나옵니다. BPS는 주식 하나를 갖고 있을때 회사의 순자산을 얼마나 보유하게 되는지 나타내는 값입니다. 회사의 순자산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인데요. 우선 자산 = 자본+부채 이고 순자산 = 자본 = 자산 - 부채의 ..
-
[주식용어] 주식 PER 뜻과 계산 방법, 투자에 활용하기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21. 11:38
주식 투자에 아주 중요한 지표가 PER, PBR입니다. 이 둘은 주가와 상관이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데요. 특히 기업의 주가 및 수익성과 관련된 지표가 바로 PER입니다. PER이 무슨 뜻이고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봅시다. PER 뜻과 계산하기 PER = 주식가격 / 주당순이익 PER은 주식 현재 가격을 주당 순이익(EPS)로 나눈 값입니다. 주식 현재 가격은 네이버금융 같은 곳 가시면 쉽게 알 수 있죠. EPS는 무엇일까요? EPS는 주식 하나당 회사가 버는 순이익을 표현한 값입니다. 즉, 회사의 당기 순이익을 총 주식 수로 나눈 값인데요. EPS = 당기순이익 / 주식 총수 라는 수식으로 요약됩니다. 보통 당기는 1년을 기준으로 해서, 1년간 번 순이익/주식총수가 됩니다. 자세한 계산은 EPS에 대..
-
[주식용어] 주식 BPS 뜻 계산방법, 투자에 활용하기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21. 05:00
주식 공부를 하다보면, 재무제표나 실적 관련 지표로 EPS라는 용어가 등장합니다. BPS가 무슨 뜻이고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봅시다. 또 주식 투자에 BPS를 참고하는 방법을 생각해봅니다. BPS 뜻 BPS = (자산 - 부채) / 발행주식총수 BPS란 Book-value Per Share의 약자로 한 주식당 얻을 수 있는 순자산입니다. 계산은 기업의 '순수 자산'을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값으로 합니다. 여기서 순자산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과 같은 수식을 이해해야합니다. 자산 = 자본+부채 자본이란 쉽게 기업 자기가 투자한 자기 돈을 의미합니다. 부채는 아시는 대로 빌린 돈입니다. 한 마디로 자산이란 내 돈+빌린돈이라는 것이죠. 그렇다면 순자산은? 자산 - 부채=자본..
-
[주식용어] 주식 EPS 뜻 계산 방법 활용하기금융-재테크 팁/금융-경제 용어 2020. 10. 20. 11:50
주식을 사고 팔때, 재무제표나 실적을 보면 EPS라는 용어가 등장합니다. EPS가 무슨 뜻이고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봅시다. 또 주식 투자에 어떻게 EPS를 참고할지 고려해봅니다. EPS(Earning Per Share)란?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총수 EPS란 한 주식당 얻을 수 있는 순이익입니다. 계산은 기업이 얻은 '순수 이익'을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값으로 합니다. 여기서 순수 이익, 순이익이란 이업이 특정 기간동안에 얻은 모든 매출에서 모든 비용을 빼고 '순수하게 남은 값'만을 의미합니다. '당기'라는 말이 붙은 이유는, 순이익은 기간을 어떻게 정하는지에 따라 다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보통 상장기업은 분기, 반기별로 보고서를 내지만 1년을 기준으로 순이익을 집계합니다. 이게 계산이 편..